본문 바로가기
오토 뉴스 & 트렌드

2025 쌍용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 BYD 엔진 장단점과 실구매 포인트 정리

by 친절한금해씨 2025. 4. 3.
반응형

쌍용자동차가 브랜드의 미래를 걸고 내놓은 첫 하이브리드 SUV, 2025 토레스 하이브리드가 드디어 베일을 벗었습니다. ‘토레스 EVX’로 먼저 전기 SUV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던 쌍용은, 이번엔 내연기관 기반 하이브리드 모델로 다시 한 번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모델에는 중국 BYD(비야디)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해, 그 장단점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출시 배경부터 실제 성능, BYD 시스템의 특징까지 총정리해보겠습니다.


1. 토레스 하이브리드, 왜 지금 나왔나?

쌍용은 토레스 EVX로 전기차 시장에 도전했지만, 고가의 가격과 충전 인프라의 한계로 시장에서 제한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동화 전략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하이브리드 SUV를 선택한 것이 이번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핵심 배경입니다.

하이브리드는 전기차 대비 주행 거리 걱정이 없고, 연비 개선 효과도 뛰어나며, 무엇보다 ‘충전 스트레스’가 없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실용적인 선택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쌍용차는 합리적인 가격과 레저 감성의 외형 디자인을 앞세워 패밀리 SUV 수요층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2. BYD 하이브리드 시스템, 왜 탑재했을까?

이번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쌍용차 최초로 중국 BYD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모델입니다. BYD는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으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술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쌍용이 자체 개발이 아닌 외부 기술 도입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연기관 기반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역량 부족
  • 단기간에 전동화 전환을 위해 비용 효율적인 협업 필요
  • BYD의 검증된 하이브리드 성능 및 생산 안정성

이는 현대차나 기아처럼 수년간 자체 기술 개발 여력이 부족했던 쌍용에게는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이었다는 평가입니다.


3. 파워트레인 & 연비 성능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핵심은 BYD와 공동 개발한 1.5L 가솔린 터보 엔진 + 전기모터 구성입니다. 시스템 출력은 약 190~200마력 수준이며, 전기모터 단독 주행은 불가능하지만 다음과 같은 하이브리드 운전 모드를 지원합니다.

  • EV 보조 주행: 저속 구간에서 전기모터로 구동 지원
  • 하이브리드 모드: 엔진+모터 혼합 주행으로 연비 최적화
  • 회생제동 시스템: 감속 시 에너지 회수 후 배터리 충전

공인 복합연비는 약 17~18km/L 전후로 예상되며, 이는 동급 SUV 모델인 투싼 하이브리드(16.2km/L), 스포티지 하이브리드(16.7km/L)보다 소폭 우세한 수치로 알려졌습니다.


4. 디자인과 실내 구성은 그대로일까?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기존 내연기관 모델의 디자인을 대부분 유지하면서, 하이브리드 전용 엠블럼과 일부 라디에이터 그릴 패턴, 휠 디자인 등에 차이를 뒀습니다. 강인하고 각진 SUV의 형태는 그대로이며, 실내도 기존 토레스와 유사한 레이아웃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 + 인포테인먼트
  • 다이얼 방식 전자식 변속기(E-SBW)
  • 하이브리드 전용 에너지 흐름 디스플레이 추가

트렁크 적재 공간은 배터리 탑재로 소폭 감소했지만, 실용성 측면에선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입니다.


5. 트림별 가격 및 주요 옵션

쌍용차는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2,900만 원대부터 시작하는 합리적 가격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아직 공식 트림 구성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옵션 구성이 예상됩니다.

  • LED 헤드램프, 18~19인치 휠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충돌 방지 보조
  • 통풍 시트,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보급형 SUV 하이브리드 중에서도 가성비 중심의 트림을 내세워 가격 부담을 낮춘 점이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6. 경쟁 모델과 비교하면?

모델명 기본 가격 복합연비 시스템 출력 주요 특징

모델명 기본 가격 복합연비 시스템 출력 주요 특징
토레스 하이브리드 2,900만 원대~ 약 17~18km/L 약 190~200마력 BYD 하이브리드 탑재, 실용성 강조
투싼 하이브리드 3,300만 원대~ 16.2km/L 약 230마력 현대 자체 HEV 시스템, 다양한 옵션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3,400만 원대~ 16.7km/L 약 230마력 기아 HEV 기술, 디자인 인기

토레스는 출력에선 다소 밀리지만, 가격과 실용성 측면에선 확실한 경쟁 우위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첫 하이브리드 SUV를 고민 중인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7. BYD 시스템, 장점과 아쉬움은?

장점:

- 글로벌 검증된 기술력으로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
- 쌍용차 자체 개발보다 빠른 양산 가능
- 합리적인 연비와 가격 조합 제공

 

단점:

- 중국산 파워트레인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부담
- 고성능 및 정숙성 면에서 현대·기아 대비 부족하다는 평가
- A/S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관련 우려 존재

하지만 전체적으로 “가성비와 실용성” 중심의 소비자들에게는 충분한 매력을 지닌 선택지라는 평가입니다.

 


8. 쌍용차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단순한 모델 확장이 아닌, 쌍용차의 전동화 전략에서 매우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지입니다. BYD와의 협업을 통해 빠른 전환과 생산 안정성을 확보한 것은 분명한 성과이며, 가성비 중심의 시장에서 충분한 반응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SUV 시장 입문자, 연비에 민감한 패밀리 소비자, 국산 SUV에서 실용성을 찾는 운전자에게는 강력히 추천할 만한 모델입니다.

앞으로의 판매 추이와 소비자 반응이 쌍용차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