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세단인 그랜저가 2026년형 연식변경 모델로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모델은 외관 디자인의 큰 변화보다는 실질적인 상품성 강화에 초점을 맞췄으며, 고객 선호 옵션을 기본화한 스페셜 트림 ‘아너스(Honors)’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주요 트림별로 인기 사양을 대폭 반영하고 편의성과 고급감을 동시에 강화해, 프리미엄 세단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더욱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6 그랜저, 주요 트림 구성 및 가격
이번 2026 그랜저는 가솔린 2.5 / 3.5 / 하이브리드 3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되며, 각 트림별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워트레인 | 프리미엄 | 익스클루시브 | 아너스 | 캘리그래피 |
가솔린 2.5 | 3,798만 원 | 4,287만 원 | 4,513만 원 | 4,710만 원 |
가솔린 3.5 | 4,042만 원 | 4,530만 원 | 4,757만 원 | 4,954만 원 |
하이브리드 | 4,354만 원 | 4,843만 원 | 5,069만 원 | 5,266만 원 |
※ 개별소비세 3.5% 기준
가장 큰 변화는 ‘아너스(Honors)’ 트림의 신설입니다. 고급 사양을 ‘기본’으로 적용한 실속형 상위 트림으로, 기존 캘리그래피 트림과 동일한 디자인 요소와 기능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합니다.
아너스 트림 특징: 캘리그래피급 고급 사양 기본화
‘아너스’ 트림은 고객 실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기 사양을 기본화한 스페셜 트림입니다. 기존에는 최상위 트림인 캘리그래피에서만 선택할 수 있던 다음 항목들을 기본으로 포함합니다.
- 블랙 잉크 전용 외관 디자인
- 19인치 전용 알로이 휠
-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 & 다이내믹 웰컴 라이트
- BOSE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 현대 스마트센스 Ⅱ
- 빌트인 캠 2,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등
이로써 프리미엄 세단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사양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하는 모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트림별 기본 사양 변화 요약
2026 그랜저는 각 트림마다 실제 고객 선호도가 높은 사양을 기본화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단순한 옵션 선택지를 줄이는 대신, 기본 트림부터 체감 품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입니다.
트림 | 주요 기본 사양 |
프리미엄 | 천연 가죽 시트, 1열 통풍시트, 스마트 파워 트렁크, 앞좌석 전동 조절,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등 주요 편의·안전 기능 확보 |
익스클루시브 | 10.25인치 공조 터치패널, 인터랙티브 앰비언트 무드 램프(주행 상황 연동), 전자식 변속버튼(SBW), ECM 룸미러 등 감성 품질 강화 |
아너스 | 현대 스마트센스 Ⅱ, BOSE 프리미엄 사운드, 빌트인 캠 2,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전용 외관 디자인, 19인치 전용 휠 등 고급 사양 일괄 적용 |
캘리그래피 | 나파가죽 시트, 후석 전동 선블라인드, 뒷좌석 통풍시트, 실내 무드 패키지, 듀얼 모드 서스펜션 등 최고급 편의·감성 사양 총집약 |
이처럼 트림 간 사양 격차를 줄이면서도, 실제 사용에서 체감되는 기능을 집중 배치한 것이 이번 연식변경의 핵심입니다. 특히 ‘아너스’ 트림은 캘리그래피의 고급감을 일부 유지하면서도 약 200만 원 낮은 가격에 제공돼, 실속과 만족도를 동시에 충족하는 ‘가성비 고급 트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외관 디자인: 고급스러움 유지, 마감 디테일 강화
2026 그랜저는 전면적인 디자인 변경 없이, 기존 모델의 라인을 유지하면서도 디테일 중심의 완성도 향상에 집중했습니다. 그랜저 특유의 유려한 패스트백 실루엣과 슬림한 전면 LED 라이팅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며, 전체적으로 고급스럽고 안정감 있는 플래그십 세단의 이미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상위 트림에서만 제공되던 블랙 잉크 전용 외장 컬러와 전용 휠 디자인이 ‘아너스’ 트림부터 기본 적용되면서, 고급감이 한층 더 대중화되었습니다. 블랙 하이글로시 포인트와 함께 적용된 19인치 전용 알로이 휠은 시각적인 존재감을 강조하며, 정차 중에도 묵직한 인상을 줍니다.
앞·뒤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과 다이내믹 웰컴 라이트도 한층 세련된 디테일로 마무리되었으며, 야간에 차량 접근 시 점등되는 라이팅 연출은 운전자에게 심미적인 만족감을 더합니다. 이와 함께, 차체 곳곳의 크롬 라인 마감이나 글로시 블랙 포인트 요소는 고급 대형 세단의 품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2026 그랜저는 ‘완전히 새로운 외형’보다 ‘디테일의 정제’를 통해 세련미와 중후함을 동시에 담은 완성형 디자인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경쟁 모델과 비교: G80·K8보다 실속 있는 고급 세단
2026 그랜저는 제네시스 G80, 기아 K8과 경쟁하는 프리미엄 세단입니다.
- G80은 정통 고급 후륜 세단이지만 시작 가격이 더 높고, 상위 트림은 6천만 원을 넘깁니다.
- K8은 유사한 사양 구성이 가능하지만,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이나 빌트인 캠 적용 범위는 그랜저가 앞섭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캘리그래피 트림 기준, G80이나 K8 대비 최소 500만~800만 원 이상 저렴한 가격에 유사한 사양 구성이 가능해 실구매자 입장에서는 그랜저가 가장 실속 있는 프리미엄 세단으로 평가됩니다.
단순한 연식 변경이 아닌 그랜저의 변화
2026 그랜저는 단순한 연식 변경을 넘어,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반영한 트림 구성과 고급 사양의 기본화를 통해 상품성과 실용성을 모두 끌어올린 모델입니다. 특히 새롭게 추가된 ‘아너스’ 트림은 기존 상위 트림의 고급감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누릴 수 있는 선택지로, 프리미엄 세단 입문층부터 기존 구매층까지 폭넓게 만족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전면적인 변화 없이 기존의 강점을 유지하되, 세밀한 디테일 개선과 고급화 포인트 강화를 통해 완성도를 높였으며, 트림별 사양은 불필요한 선택지를 줄이고 실사용 중심으로 정돈된 점이 돋보입니다. 경쟁 모델인 G80이나 K8과 비교해도 가격 대비 구성 면에서 높은 가성비를 갖췄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은 세제 혜택과 고급 사양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40주년을 맞이하는 그랜저는 이번 2026년형 모델을 통해 브랜드 역사와 고객 신뢰를 이어가는 완성형 연식 모델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향후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 전까지, 고급 세단 시장에서 꾸준한 수요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으며, 실용성과 품격을 모두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충분히 주목해볼 만한 선택지라 할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K8 하이브리드 - 가격·연비·출고기간 최신 가이드
국내 준대형 세단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이는 기아 K8 하이브리드는 뛰어난 연비와 고급 편의 사양으로 ‘패밀리 세단’과 ‘비즈니스카’ 수요를 모두 공략하고 있습니다. 본 글은 2025년
fly.gotrygo.com
렉서스 es 풀체인지 시기·가격·디자인·라인업(350h, 350e, 500e)
···2025 상하이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 공개된 8세대 신형 렉서스 ES(코드명 XZ10). 7년 만의 풀체인지답게 디자인·플랫폼·파워트레인이 모두 바뀌었습니다. 하이브리드에 더해 브랜드 최초로 전
fly.gotrygo.com
제네시스 G80 가격, 제원, 연비 총정리
국산 프리미엄 세단의 대표 모델인 제네시스 G80이 2025년형으로 돌아왔습니다. 외관과 실내 디자인이 한층 더 세련되었고, 최신 기술과 강화된 주행 성능이 더해지며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었습
fly.gotrygo.com
완전히 새로워진 아우디 A6 풀체인지, 가격·연비·장단점까지 시승기로 정리!
2025년형 아우디 A6 풀체인지 모델이 드디어 해외에서 공개되었습니다. 아우디는 이번 A6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첨단 기술, 그리고 프리미엄 중형 세단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했
fly.gotrygo.com
'오토 뉴스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시스 G90 가격·제원·연비 총정리 (2) | 2025.05.22 |
---|---|
라브4 풀체인지 하이브리드 출시일, 사양, 트림 공개 (0) | 2025.05.22 |
2025 아우디 Q5 국내 가격·트림 공개 (0) | 2025.05.21 |
대통령 의전 차량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 풀만가드 가격 (1) | 2025.05.21 |
그랑콜레오스 하이브리드 E-Tech 연비 실제로 어느 정도일까? (3)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