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토 뉴스 & 트렌드

2025 자동차 산업 전망: EV 성장 둔화·자율주행 확산·중고차 강세 3대 트렌드 분석

by 친절한금해씨 2025. 4. 3.
반응형

2025년은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에 있어 전환점이 되는 해가 될 것입니다. 지속가능성, 디지털 전환,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가 업계의 전략에 깊이 영향을 미치며, 세 가지 핵심 트렌드가 주도권을 잡을 전망입니다:

  1. 순수 전기차(EV)에 대한 수요 둔화와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의 전환
  2.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및 확산
  3. 신차 등록 감소 속 중고차 시장의 지속적 성장

1. 전기차 성장 둔화…하이브리드로 전략 전환

2025년에는 BEV(배터리 전기차) 및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신차 등록 대수가 1,81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1,630만 대) 대비 증가세를 보이지만 성장률은 15% → 11%로 둔화됩니다.

 

  • 고가의 EV 가격과 부족한 충전 인프라
  • 정부 보조금 축소
  • 대중의 전동화 전환에 대한 피로감

이러한 요소들이 EV 성장세에 제동을 걸고 있으며, GM, 현대차, 포드를 포함한 OEM들은 EV 생산 계획을 축소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충전 인프라 의존도가 낮고 가격 경쟁력도 높아 중기 전략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자율주행차 시대 도래…레벨 2 중심으로 확산

2025년은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가 본격화되는 시기입니다. 대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Uber와 GM Cruise: 미국 일부 도시에서 완전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도입
  • 바이두 Apollo Go: 중국 우한에서 운영 중인 로보택시, 2025년 흑자 전환 목표

우한의 로봇택시 ©sixthtone.com

그러나 실제 판매 차량은 여전히 SAE 레벨 2(부분 자율주행)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전체 승용차 판매 중 48%가 레벨 2 차량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레벨 2: 차선 유지, 자동 제동 등 ADAS 기술 기반 (운전자가 반드시 통제)
  • 레벨 3: 조건부 자율주행도 일부 증가하나, 규제 미비로 보급 속도는 제한적

3. 중고차 시장의 약진…신차보다 강하다

2025년 전 세계 중고차 등록 대수는 1억 7,900만 대, 전년 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반면 신차 시장은 0.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첫 감소입니다.

 

  • 신차 가격 고공행진
  • 고금리로 인한 대출 부담
  • 중고차 시장에서의 전기차 대체 수요 증가

비용을 고려한 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이 중고차 시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전기차 특유의 감가상각 문제로 인해 더 저렴한 중고 EV에 대한 수요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 영국 기준으로 EV가 전체 중고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 수준으로 여전히 낮습니다.


결론: 변화에 대응하는 자가 살아남는다

2025년 자동차 산업은 경기 둔화,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더욱 민첩한 전략 수정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EV 단독 전략에만 의존하기보다는 하이브리드·자율주행 기술·중고차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는 브랜드가 생존과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 산업의 다음 행보는 이 변화의 흐름 속에서 누가 더 빠르게 현실을 인식하고 전략을 전환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